항렬표

HOME > 항렬표

 

사천(동성) 이씨의 항렬표(行列表,돌림자)

22世

23世

24世

25世

26世

27世

28世

항렬자

(行列字)

,

환(煥), 현(炫)

중(中), 기(基)

,

,

종(種), 호(鎬)

영(永), 영(泳)

,

,

진(震), 식(植)

남(南), 준(焌)

,

,

규(圭),, 규(奎)

29世

30世

31世

32世

33世

34世

35世

항렬자

(行列字)

태(兌), 용(鎔)

,

,

연(淵), 수(洙)

갑(甲), 영(榮)

,

,

화(華), 렬(烈)

재(在), 재(載)

,

,

석(錫), 현(鉉)

임(任), 호(浩)

,

36世

37世

38世

39世

40世

41世

42世

항렬자

(行列字)

,

인(寅), 권(權)

경(炅), 병(炳)

,

,

준(埈), 곤(坤)

박(鉑), 옥(鈺)

,

,

홍(泓), 태(泰)

동(東), 주(柱)

,

,

형(泂), 주(炷)

43世

44世

45世

46世

 

 

 

항렬자

(行列字)

균(均), 성(城)

,

,

사(鈶), 록(錄)

문(汶), 옥(沃)

,

,

계(桂), 도(桃)

다른 글자

 

 

 

iq06.png 사천(동성) 이씨의 항렬(行列,돌림자)

 

항렬은 혈족의 방계(傍系)에 대한 대수 관계 즉 세대를 표시하는 세대칭으로 조항(祖行, 大父行), 숙항(叔行), 동항(同行), 질항(姪行), 손항(孫行) 등이 있으며 조항은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 숙항은 윗항렬(아버지와 같은 항렬), 동항은 자기와 한 항렬, 질항은 아래(아들)항렬, 손항은 손자와 같은 항렬을 말한다.

 

조항 위로는 증조항, 고조항이라고 하며 그 이상은 항렬을 따지지 않고 시조나 중시조로부터 몇 세(몇 세손) 또는 몇 대손으로 일컫는다. 이러한 대수 관계를 알기 쉽게하기 위하여 예전부터 항렬자(돌림자)를 써왔다. 항렬자는 이름의 첫 자와 둘째 자를 번갈아 쓰는데 한 대가 첫 자를 쓰면 다음 대는 둘째 자를 쓴다. 그러므로 일가 사람이 아버지와 같은 항렬자를 쓰면 그 사람은 나의 윗 항열이고, 할아버지와 같은 돌림자를 쓰면 그 사람은 할아버지뻘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항렬자(돌림자)는 일반적으로 같은 항렬에서 한 자나 두 자를 대종회에서 오행상의 원리를 따라 상서(祥瑞)로운 글자만을 미리 골라 서정하여 족보에 올려놓고 이름을짓는 것이다.

 

항렬이 조항(祖行)이면 족조, 족대부 또는 대부라 부르고 숙항(叔行)이면 족숙 또는 족장이라 부르며 동항렬(同行列) 족제, 족형 질항(姪行)을 만나면 족질, 손항(孫行)이면 족손이라 일컫는다.

 

처음 만나는 사람이 아무리 먼 일가나 종씨라도 항렬자를 알면 그가 시조의 몇 세손인지, 누가 손위 항렬인지, 그 사람이 나와의 관계를 쉽게 알 수 있어 항렬자의 편리함을 느끼고 있다. 항렬이 자기보다 낮은 아래 항렬이라도 나이가 월등히 높으면 일가양반, 일가어른, 족장, 조카님, 손주양반 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라 본다.

 

그런데 요즈음은 이름을 예쁘게, 부르기 좋게, 듣기 좋게 지으므로 일가 사람이라도 이름을 듣고는 위아래를 알아보기가 어려워서 우리 조상들의 문화유산인 항렬자의 체계가 걱정된다. 자기의 뿌리를 몰라서 손자뻘 되는 일가나 종씨를 나이가 위라고 종씨형님으로 부르는 실수를 하는 이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사천(동성) 이씨의 항렬표(行列表,돌림자)

22世

23世

24世

25世

26世

27世

28世

항렬자

(行列字)

,

환(煥)

현(炫)

중(中)

기(基)

,

,

종(種)

호(鎬)

영(永)

영(泳)

,

,

진(震)

식(植)

남(南)

준(焌)

,

,

규(圭)

규(奎)

29世

30世

31世

32世

33世

34世

35世

항렬자

(行列字)

태(兌)

용(鎔)

,

,

연(淵)

수(洙)

갑(甲)

영(榮)

,

,

화(華)

렬(烈)

재(在)

재(載)

,

,

석(錫)

현(鉉)

임(任)

호(浩)

,

36世

37世

38世

39世

40世

41世

42世

항렬자

(行列字)

,

인(寅)

권(權)

경(炅)

병(炳)

,

,

준(埈)

곤(坤)

박(鉑)

옥(鈺)

,

,

홍(泓)

태(泰)

동(東)

주(柱)

,

,

형(泂)

주(炷)

43世

44世

45世

46世

 

 

 

항렬자

(行列字)

균(均)

성(城)

,

,

사(鈶)

록(錄)

문(汶)

옥(沃)

,

,

계(桂)

도(桃)

다른

글자

 

 

 

iq06.png 사천(동성) 이씨의 항렬(行列,돌림자)

 

항렬은 혈족의 방계(傍系)에 대한 대수 관계 즉 세대를 표시하는 세대칭으로 조항(祖行, 大父行), 숙항(叔行), 동항(同行), 질항(姪行), 손항(孫行) 등이 있으며 조항은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 숙항은 윗항렬(아버지와 같은 항렬), 동항은 자기와 한 항렬, 질항은 아래(아들)항렬, 손항은 손자와 같은 항렬을 말한다.

 

조항 위로는 증조항, 고조항이라고 하며 그 이상은 항렬을 따지지 않고 시조나 중시조로부터 몇 세(몇 세손) 또는 몇 대손으로 일컫는다. 이러한 대수 관계를 알기 쉽게하기 위하여 예전부터 항렬자(돌림자)를 써왔다. 항렬자는 이름의 첫 자와 둘째 자를 번갈아 쓰는데 한 대가 첫 자를 쓰면 다음 대는 둘째 자를 쓴다. 그러므로 일가 사람이 아버지와 같은 항렬자를 쓰면 그 사람은 나의 윗 항열이고, 할아버지와 같은 돌림자를 쓰면 그 사람은 할아버지뻘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항렬자(돌림자)는 일반적으로 같은 항렬에서 한 자나 두 자를 대종회에서 오행상의 원리를 따라 상서(祥瑞)로운 글자만을 미리 골라 서정하여 족보에 올려놓고 이름을짓는 것이다.

 

항렬이 조항(祖行)이면 족조, 족대부 또는 대부라 부르고 숙항(叔行)이면 족숙 또는 족장이라 부르며 동항렬(同行列) 족제, 족형 질항(姪行)을 만나면 족질, 손항(孫行)이면 족손이라 일컫는다.

 

처음 만나는 사람이 아무리 먼 일가나 종씨라도 항렬자를 알면 그가 시조의 몇 세손인지, 누가 손위 항렬인지, 그 사람이 나와의 관계를 쉽게 알 수 있어 항렬자의 편리함을 느끼고 있다. 항렬이 자기보다 낮은 아래 항렬이라도 나이가 월등히 높으면 일가양반, 일가어른, 족장, 조카님, 손주양반 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라 본다.

 

그런데 요즈음은 이름을 예쁘게, 부르기 좋게, 듣기 좋게 지으므로 일가 사람이라도 이름을 듣고는 위아래를 알아보기가 어려워서 우리 조상들의 문화유산인 항렬자의 체계가 걱정된다. 자기의 뿌리를 몰라서 손자뻘 되는 일가나 종씨를 나이가 위라고 종씨형님으로 부르는 실수를 하는 이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